반응형 DOCR2 방향성 과전류 계전기 - 정상분을 이용한 방향성 판별 정상분을 이용한 방향성 판별 일단, 이 글을 보기 전에, 설명을 듣기 전에, 진전류 방식의 방향성 판별 방법에 대해 숙지하는 것이 이해하기에 훨씬 수월할 것이라는 말씀을 드린다. 기본이 되어 있으신 분들은, 내가 조금의 오타나 설명이 틀리더라도 무엇이 틀렸는지, 고쳐가며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2023.04.09 - [이력/전력계통 보호협조 연구] - 방향성 과전류 계전기(DOCR)의 원리 방향성 과전류 계전기(DOCR)의 원리 방향성 과전류 계전기(DOCR) 자료 고치기가 귀찮아서 용어 설명이 좀 잘못되어있는 부분이 있어도 양해바란다. 기본이 있는 공학도라면, 무슨 용어가 정확하지 않은지 틀렸는지 알것이고, 올바르 sonofsoonman.tistory.com 정상분이란? 자, 3상 계통의 해석.. 이력/전력계통 보호협조 연구 2023. 4. 10. 더보기 ›› 방향성 과전류 계전기의 원리 방향성 과전류 계전기(DOCR) 자료 고치기가 귀찮아서 용어 설명이 좀 잘못되어있는 부분이 있어도 양해바란다. 기본이 있는 공학도라면, 무슨 용어가 정확하지 않은지 틀렸는지 알것이고, 올바르게 고쳐서 이해할수 있을 것이다. 연구원 생활을 시작하며, 처음으로 받았던 연구 주제이다. 연구 주제랄 것은 없다. 방향성 과전류 계전기와 방향성 지락 과전류 계전기 DOCR/DOCGR의 원리는 예부터 알려져 있던 것이니까. 나는 MTA(RCA)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주 역할이었지. 그를 공부하다 보며, 어떤 책도, 어떤 글도 나의 속을 벅벅 긁어주지는 않았다. 차라리, 모든 대학원생들의 교수 : 인도인들의 유튜브를 보라..! MTA와 RCA를 기반으로, DOCR과 DOCGR을 알게된 것들에 대하여, .. 이력/전력계통 보호협조 연구 2023. 4. 9.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