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태양광2

태양광 발전(PhotoVoltaic, PV) 중심 분산전원(Distributed Generation, DG) 기술 및 연계 현황(2) PV 중심 DG의 연계 현황(2) 그렇다면, 태양광 발전설비를 어떻게 분류 할 수 있는 가? 2가지로 분류를 해본다. 1) 전력변환장치(PCS)의 Stage(Level) 2) 변압기의 유무 1) 전력변환장치 구성에 따른 태양광 발전설비 분류 가장 간단한 태양광 발전설비를 들여본다. 하기 사진은 3가지 컴퍼넌트로 이루어져있다. 태양광 어레이, DC-AC Converter, Filter 끝 PCC는 Point of Common Coupling 의 약자로, 태양광 발전설비가 연계되는 '공통 접속점 지점'이 되겠다. 간략하게, PV의 DC 전력을 AC로 변환하여, 높은 전력 품질을 위해 필터를 거친 후, 계통에 전송하는 것이다. 하기 사진은 PCS가 1단계(Stage 또는 Level)로 되어있으므로, Singl.. 이력/분산전원 연계 및 운용 2023. 3. 9.
태양광 발전(PhotoVoltaic, PV) 중심 분산전원(Distributed Generation, DG) 기술 및 연계 현황(1) PV 중심 DG의 연계 현황(1) 시작하며, 태양광 발전설비에 대해서, 계통의 관점에서 풀어보도록 한다.. 먼저, 흔히들 알고있는 PV나 에너지 저장장치(ESS)는 전기공학 계열의 업이 아니다. 전기공학이 아닌, 화학공학에 직결된다. 그렇다면 전기공학자들은 왜 PV와 ESS같은 DG를 연구하는가? 그들의 활용 목적이 전력의 원활한 수급이며, 활용처가 전력계통이기 때문이다. 엄밀히 말하면 신재생에너지원 또는 분산전원이라 칭하는,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전력 생산 개체로서, 필요한 전력 또는 보조(ancillary) 기능을 충당/수행하기 위함이다. 나는 배전계통에 연계되는 분산전원의 연계 운용에 대해서 주로 연구를 수행했다. 지금도, 향후에도 할 업에 해당되겠다. 현재는 한 기관에 속하여, 배전계통을 계.. 이력/분산전원 연계 및 운용 2023. 3.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