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태양광 출력 제어2 태양광 발전 설비(분산 전원)의 FRT(고장시 운전 지속) 오늘은 태양광 발전설비, 인버터 기반 분산형 전원의 FRT(Fault Ride Through) - 고장시 운전 지속에 대해 포스팅 하려고 한다. 태양광 발전설비가 접속된 계통에서 고장이 발생했을 때, 전압이나 주파수에 대해 유연하기 대처하기 위한 기술임을 알린다. FRT, 고장시 운전지속이란? FRT는 Fault Ride Through의 약어로, 고장시에도 운전을 지속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는 주로, 인버터 기반 분산형 전원(Distributed Generation)이 수행할 수 있으며, 국내에서는 주로 태양광 발전 설비가 해당되는 기능이다. 태양광 발전설비와 같은 분산형 전원이 계통에 연계 되었을 때, 계통의 전압과 주파수의 상태나 변화에 따라 어떻게, 언제까지, 협조 운전할지 혹은 운전을 멈추어 탈락.. 이력/분산전원 연계 및 운용 2023. 4. 18. 더보기 ›› 태양광 발전 제한, 출력 제한, 출력제어의 해법. 스마트인버터 기능 태양광 발전 및 출력 제한의 해법, 스마트인버터 태양광 발전을 왜 제한하는가? 출력을 왜 제한하는가? 태양광 발전을 왜 제한하는지에는 두 가지 요인(용량, 전압 및 주파수)이 있다. 전글과 태양광발전의 영향성(전압 상승)에 대한 글을 참고하면 되겠다. 혹여나 필요한 사람들을 위해 글의 링크를 첨부한다. 출력을 제한하는 이유는 두 가지로 크게 분류 가능하다. 1. 용량의 한계 2. 전압 및 주파수의 유지 범위 준수 1과 같은 경우는 앞 글에서 예시를 들었다시피, 당신의 몸에 햄버거를 10개 넣어보라. 들어가긴 한다. 당신의 몸에 햄버거를 100개 넣어보라. 들어가긴 할 것(?)이다. 당신의 몸에 햄버거를 10000개 넣어보라. 터진다. 에너지도 마찬가지다. 태양광 발전설비도 마찬가지다. 태양광이 발전하는 .. 이력/분산전원 연계 및 운용 2023. 3. 28.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다음